트랙백 : 32bit Windows의 관리 외 영역을 RAM disk로 활용하는 방법
2009/10/31 추가
1. Windows 7 32bit에서도 램 디스크(ramdis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 7 역시 Vista 커널이 기본이여서 32bit 버젼에서는 최대 3GB까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 64bit를 사용하고 있지만요. ^^) Windows 7에서 설정 방법은 아래에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2. 노트북중에서 최대절전모드로 동작하면 ramdisk의 내용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대기모드에서는 문제가 없습니다.
2008/11/12 추가
1. Windows Internet Explorer나 Fire Fox에서 램디스크 이상의 파일을다운 받을 경우에는 TEMP와 TMP를 HDD의 임시 폴더로 지정한 다음에 재부팅해야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이 부분은불편하더라도 환경 변수를 바꾸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2. PhotoShop과 같이 임시 폴더를 과도(?)하게 사용하는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한다면 64bit OS로 없그레이드 하든지 아니면 램디스크를 TEMP와 TMP로 설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단, 5장 정도 사진 편집같이 간단한 작업은 램디스크가 더 효율적입니다.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메모리 가격은 많이 저렴해졌습니다. 1990년 중반에는 1MB당 3~5만원 정도 했었는데 지금은 1MB당 22.5원(삼성 1GB PC2-5300 DDR2 기준)으로 매우매우 저렴해졌습니다. 따라서 조금 여유가 있으면 얼마든지 메모리를 많이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2Bit MS Windows XP/Vista는 아무리 많은 메모리를 확보하더라도 3GB 까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MS의 문서인 '4GB의 RAM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Windows Vista의 시스템 정보 대화 상자에 보고되는 시스템 메모리가 예상한 것보다 작다'에서 보듯이 4GB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64Bit 운영체제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3GB 이상 나머지 메모리는 아예 사용할 수 없습니다.

4GB 메모리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가 있는 MS Windows에서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RAM Disk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존의 RAM Disk는 Windows가 확보한 메모리 중 일부를 가상 디스크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음에 소개하는 방법은 Windows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RAM Disk로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Windows나 웹 브라우저의 임시 파일을 RAM Disk에서 저장하면 시스템의 속도도 조금이나마 빨라질 뿐만 아니라 HDD의 단편화 문제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Windows XP에서는 먼저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 시작 및 복구 항목에서 [설정] 버튼을 누른 다음에 [편집] 버튼을 누르거나 메모장에서 C:\boot.ini 파일을 열어 /PAE 옵션을 추가합니다. PAE 옵션은 MS의 '4GB RAM 조정 기능 및 PAE(실제 주소 확장) 스위치에 대한 설명'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Windows Vista에서는 [시작] → [실행]을 선택한 다음에 cmd를 실행한 후 bcdedit /set pae forceenable 를 입력합니다. VIsta에서 PAE 설정 방법은 MSDN의 Physical Address Extension 문서와 BCDEdit /set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Windows7 에서는 PAE 설정 작업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음으로 Gavotte Ramdisk에서 rramdisk.zip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참고로 이 프로그램은 프리웨어입니다. 적당한 폴더에 압축을 해제한 다음에 ram4g.reg 파일을 레지스트리에 등록합니다.
Windows7에서는 레지스트리를 등록한 후 재부팅을 해야만 ramdisk.exe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ramdisk.exe 파일을 실행한 다음에 [Install Ramdisk] 버튼을 누릅니다.
Windows7에서는 드라이버 설치 여부를 물어봅니다. 이 드라이버를 설치해야만 ramdis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RAM Disk의 용량, 드라이브 위치, 드라이브 형태를 설정합니다. 여기에서 드라이브 형태(Media Type)는 반드시 'Fixed Media'로 설정하기 바랍니다. (기본값임) 다른 형태로 선택하면 RAM Disk가 비정상적으로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전 RAM Disk의 크기는 1GB로, 드라이브 위치는 Z로 설정했습니다. 설정이 끝나면 [OK]나 [Apply]를 누릅니다. 시스템 사정에 따라서 바로 RAM Disk가 적용되거나 재부팅 해야만 적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제 Windows의 임시 파일을 RAM Disk로 설정할 차례입니다.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 [환경 변수] 버튼을 누른 다음에 사용자와 시스템 변수에서 TEMP와 TMP 변수의 값은 RAM Disk의 Temp 폴더로 입력합니다. 참고로 RAM Disk에는 기본으로 'Temp' 폴더가 생성됩니다.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RamDisk가 만들어진 것과, RamDisk 안에 Temp 폴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웹 브라우저의 임시 폴더의 위치를 변경합니다. Mozilla FireFox는 사용자 프로필 폴더에서 prefs.js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경로를 \\로 구분해야 합니다.
user_pref("browser.cache.disk.parent_directory", "Z:\\Temp\\Temporary Firefox Files");
Windows Internet Explorer 7은 [도구] → [인터넷 옵션] → 검색 기록에서 [설정] 버튼을 누른 다음에 [폴더 이동] 버튼을 누른 후 RamDisk의 Temp 폴더를 선택합니다.

시스템 등록 정보를 보면 메모리 크기는 변하지 않았지만, Windows 작업 관리자로 보면 RAM Disk가 Windows 메모리에 할당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 메모를 확보하는 것이 아니지만 Windows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영역을 RAM Disk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임시 파일을 이곳에 할당하면 보다 빠르고 쾌적하게 Windows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ps. 이 새벽에 내가 뭘 한 것이지... 빨리 논문 써야 겠다.
ps. 32Bit Windows XP/Vista는 무슨 수를 쓰더라도 3GB까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나머지 메모리를 가상 드라이브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3GB 이상 메모리를 사용하고 싶으면 64Bit Windows XP/Vista/7를 설치하는지 UNIX 계열(Linux, Solaris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ps. bz님이 제공하신 정보로 Windows Vista에서 PAE 설정하는 방법을 추가하였습니다.
2009/10/31 추가
1. Windows 7 32bit에서도 램 디스크(ramdis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 7 역시 Vista 커널이 기본이여서 32bit 버젼에서는 최대 3GB까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 64bit를 사용하고 있지만요. ^^) Windows 7에서 설정 방법은 아래에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2. 노트북중에서 최대절전모드로 동작하면 ramdisk의 내용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대기모드에서는 문제가 없습니다.
2008/11/12 추가
1. Windows Internet Explorer나 Fire Fox에서 램디스크 이상의 파일을다운 받을 경우에는 TEMP와 TMP를 HDD의 임시 폴더로 지정한 다음에 재부팅해야만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이 부분은불편하더라도 환경 변수를 바꾸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2. PhotoShop과 같이 임시 폴더를 과도(?)하게 사용하는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한다면 64bit OS로 없그레이드 하든지 아니면 램디스크를 TEMP와 TMP로 설정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단, 5장 정도 사진 편집같이 간단한 작업은 램디스크가 더 효율적입니다.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메모리 가격은 많이 저렴해졌습니다. 1990년 중반에는 1MB당 3~5만원 정도 했었는데 지금은 1MB당 22.5원(삼성 1GB PC2-5300 DDR2 기준)으로 매우매우 저렴해졌습니다. 따라서 조금 여유가 있으면 얼마든지 메모리를 많이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2Bit MS Windows XP/Vista는 아무리 많은 메모리를 확보하더라도 3GB 까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MS의 문서인 '4GB의 RAM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Windows Vista의 시스템 정보 대화 상자에 보고되는 시스템 메모리가 예상한 것보다 작다'에서 보듯이 4GB를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는 64Bit 운영체제를 사용해야만 합니다. 따라서 3GB 이상 나머지 메모리는 아예 사용할 수 없습니다.

4GB 메모리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가 있는 MS Windows에서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RAM Disk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존의 RAM Disk는 Windows가 확보한 메모리 중 일부를 가상 디스크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음에 소개하는 방법은 Windows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RAM Disk로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Windows나 웹 브라우저의 임시 파일을 RAM Disk에서 저장하면 시스템의 속도도 조금이나마 빨라질 뿐만 아니라 HDD의 단편화 문제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Windows XP에서는 먼저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 시작 및 복구 항목에서 [설정] 버튼을 누른 다음에 [편집] 버튼을 누르거나 메모장에서 C:\boot.ini 파일을 열어 /PAE 옵션을 추가합니다. PAE 옵션은 MS의 '4GB RAM 조정 기능 및 PAE(실제 주소 확장) 스위치에 대한 설명'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Windows Vista에서는 [시작] → [실행]을 선택한 다음에 cmd를 실행한 후 bcdedit /set pae forceenable 를 입력합니다. VIsta에서 PAE 설정 방법은 MSDN의 Physical Address Extension 문서와 BCDEdit /set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Windows7 에서는 PAE 설정 작업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음으로 Gavotte Ramdisk에서 rramdisk.zip 파일을 다운 받습니다. 참고로 이 프로그램은 프리웨어입니다. 적당한 폴더에 압축을 해제한 다음에 ram4g.reg 파일을 레지스트리에 등록합니다.
Windows7에서는 레지스트리를 등록한 후 재부팅을 해야만 ramdisk.exe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ramdisk.exe 파일을 실행한 다음에 [Install Ramdisk] 버튼을 누릅니다.
Windows7에서는 드라이버 설치 여부를 물어봅니다. 이 드라이버를 설치해야만 ramdisk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RAM Disk의 용량, 드라이브 위치, 드라이브 형태를 설정합니다. 여기에서 드라이브 형태(Media Type)는 반드시 'Fixed Media'로 설정하기 바랍니다. (기본값임) 다른 형태로 선택하면 RAM Disk가 비정상적으로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전 RAM Disk의 크기는 1GB로, 드라이브 위치는 Z로 설정했습니다. 설정이 끝나면 [OK]나 [Apply]를 누릅니다. 시스템 사정에 따라서 바로 RAM Disk가 적용되거나 재부팅 해야만 적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제 Windows의 임시 파일을 RAM Disk로 설정할 차례입니다.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 [환경 변수] 버튼을 누른 다음에 사용자와 시스템 변수에서 TEMP와 TMP 변수의 값은 RAM Disk의 Temp 폴더로 입력합니다. 참고로 RAM Disk에는 기본으로 'Temp' 폴더가 생성됩니다.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RamDisk가 만들어진 것과, RamDisk 안에 Temp 폴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웹 브라우저의 임시 폴더의 위치를 변경합니다. Mozilla FireFox는 사용자 프로필 폴더에서 prefs.js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경로를 \\로 구분해야 합니다.
user_pref("browser.cache.disk.parent_directory", "Z:\\Temp\\Temporary Firefox Files");
Windows Internet Explorer 7은 [도구] → [인터넷 옵션] → 검색 기록에서 [설정] 버튼을 누른 다음에 [폴더 이동] 버튼을 누른 후 RamDisk의 Temp 폴더를 선택합니다.

시스템 등록 정보를 보면 메모리 크기는 변하지 않았지만, Windows 작업 관리자로 보면 RAM Disk가 Windows 메모리에 할당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 메모를 확보하는 것이 아니지만 Windows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영역을 RAM Disk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임시 파일을 이곳에 할당하면 보다 빠르고 쾌적하게 Windows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ps. 이 새벽에 내가 뭘 한 것이지... 빨리 논문 써야 겠다.
ps. 32Bit Windows XP/Vista는 무슨 수를 쓰더라도 3GB까지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나머지 메모리를 가상 드라이브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3GB 이상 메모리를 사용하고 싶으면 64Bit Windows XP/Vista/7를 설치하는지 UNIX 계열(Linux, Solaris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ps. bz님이 제공하신 정보로 Windows Vista에서 PAE 설정하는 방법을 추가하였습니다.
덧글
애플때 "64kb 이상은 메인메모리로 억세스 못하니 램드라이브"
AT때 "640kb 이상은 일반적으로 사용 못하는데이니 램드라이브" (AT는 EMM386도 안먹었으니...)
그래도 잘 정리한 듯 합니다^^
Vista 에서 PAE를 설정하려면 이렇게 하면 되는군요.
고기님// 업하세요. 8GB까지 지원합니다. ^^
JOSH님// XT는 640kb만 있었어 램 디스크는 그저 꿈에서만...
자그니님//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쁩니다. 그럼 4G로 구입하시겠네요. ^^
바람의자유님// 제가 한 발 먼저 작성했네요. ^^ 새벽에 머리가 아파서 잠깐 웹셔핑하다가 저에게도 필요한 정보라서 작성한 것입니다.
JIA와_쿠냥님// 이제 램을 뺏기는 일이 없었어 다행입니다. ^^
bz님// 귀중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지금은 연결되지 않아서 MSDN에서 검색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는 메시지와,
트러블슈트 적어넣은 글을 트랙백했습니다 :)
UAC를 끄지 않고 있어서요. 꽤 까다롭네요.
&.. 비스타가 무겁긴 무겁군요. 기본 구동만으로 램 1GB를 쓰고 있네요. xp는 그보다 훨씬 낮았던걸로 기억하는데...
저 얼마 전에 호기심을 못 이기고 램을 3기가로 확장했는데,
3기가에서도 당연히 이렇게 해서 1기가쯤을 임시 드라이브로 쓸 수 있겠지요?
imc84님// 네. 램 잘 활용하세요.
Fillia님// 가능합니다. 3GB면 /PAE 옵션 없이 설정하면 됩니다.
제 연구주제와 님께서 온라인 상에서 제작하시는 전자제품 사용기나 리뷰와 같은 관련 UCC가 잘 맞아 떨어진다고 생각되어 이렇게 설문 응답을 의뢰드립니다.
아래 링크의 제 임시 블로그에 가시면 온라인 설문조사를 응답하실 수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nymo76/80051933683
UCC제작경험이 있는 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제작경험이 없으시다면 무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설문에 답해 주시면 싸이월드 도토리 5개(500원 상당)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학생신분이라 이렇게 작은 보답 밖에 드릴 수 없습니다만 님의 작은 협조가 제 졸업논문에는 큰 도움이 됩니다.
잘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왠지 모르게 램디스크가 생상된 뒤에는 한글 입력이 전혀 안되네요
윈도우 전체적으로도 그렇고 심지어 한글과 같은 워드프로세서에서도 한글 입력이 안되는군요;;
그리고 제가 4기가 램을 사용중인데
시스템 등록정보에는 3.25GB, 작업관리자에는 3164MB가 뜨는데
램디스크를 1기가를 설정했을때
평상시와 비교해서 램 사용량이 약 500메가정도 늘어나는거로 봐서는
윈도우가 관리하는 부분의 램도 사용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뭐.. superspeed사의 ramdisk plus라는 프로그램에서
윈도우가 관리하는 영역에 램디스크를 만들 때는
정확히 램디스크 용량만큼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했었으니
그때에 비하면 램 사용면에 있어서는 이득이긴 하지만요
superspeed ramdisk plus v9.0은 램디스크 생성 메뉴에
윈도우가 관리하지 않는 영역에 디스크 생성하기가 있기는 한데
옵션들도 잘 이해가 안가는 것들이 몇개 있고
아직까지 잘 생성해서 실행해본적은 없네요
혹시 이 프로그램의 사용법 아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다시 잘 살펴보니 윈도우가 관리하는 영역에 램디스크 생성이 되는듯 하네요 ㅠ
위에 써있는대로 다 했는데 왜 안되는걸까요 ㅜㅜ
혼자서 몇번 램디스크 지웠다 만들었다 해보면서 발견한 사실인데
UsePAE 옵션이 램디스크를 지우면
레지스트리에서 같이 지워지는군요 -ㅅ-
두번째 이후로 생성한 램디스크가 윈도우가 관리하는 영역에 생성된 이유가 저거였어요
다시 레지스트리에 UsePAE를 등록한 후에 설치하니
이제는 특별한 문제 없이 제대로 잘 되네요
그동안 쓰지 못하던 메모리를 활용할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ㅋ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그 동안에 많은 일이 있었네요. ^^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니까 다행이네요.
내용은 출처만 밝히면 퍼가도 좋습니다. ^^
1G 잡았는데.. 비스타 에서 계속 기본 메모리를 잡아 먹는군요..
비스타에서는 bcdedit /set pae forceenable 명령을 통해 PAE를 설정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어판 → 사용자 계정 → 사용자 계정 컨트롤 사용/사용 안함 에서 "사용자 계정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컴퓨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를 해제 하신후 재부팅하면 PA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Reg 값은 Reg 파일을 참고하여 수동으로 삭제해야 하며, bcdedit /set pae forcedisable 또는 bcdedit /set pae default 를 입력하면 PAE 설정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XP사용중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최대절전모드로는 더이상 들어가지지 않는군요 ^^
감사합니다!
OS 문제인지 시스템 문제인지 잘 모르겠네요.
그래도 남는 1GB를 활용하셨다니 유용하게 사용하세요.
http://cafe.naver.com/notevaio/13767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대용량 자료를 많이 받아서 그런데 다운로드하는 자료가 1기가이상되니 램디스크메모리 부족으로 다운이 자꾸 취소가 되는데 이경우 어떻게 해야하나요?
대용량다운을 많이 하는 사람은 램디스크를 지워야 하나요?./ㅠ
출처를 밝히고 퍼가겠습니다...^^
얘기치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문제도 발생합니다 .
또한 특정프로그램중에서 램이아닌 기본경로로 임시폴더를 이용해서 실행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램디스크에는 인터넷임시파일과 필요하다면 가상메모리정도를 설정해 두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bios다시 잡았네요....;(
방법이 없는지요..
스샷에 보면 실제 메모리에서 사용가능이 2.4G로 나오는데, 그러면 1G는 3.4G중에 1G아닌가요?
제가 렘디스크 만지면서 봤는데, 용량에 따라 변하는건 사용가능-실제메모리 이곳이 변하더군요
그리고 바이오스 - 메모리 리맵이 없어서 그냥 /pae 설정만 했더니, 시스템 등록정보에서
실제주소 확장은 뜨는데, 이거저거 건드려봐도 계속 사용가능메모리에서만 깎아먹네요
2. ram4g.reg 레지스터를 등록하셨는지요? 레지스터를 등록하지 않는 상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윈도우 메모리에서만 램디스크를 할당합니다.
램디스크 플러스를 써서도 해봤고
rramdisk를 써서 님이 쓰신글대로 해봤거든요
램디스크는 생성이 잘됩니다
근데 문제는 이게 3.25공간에 768메가를 확보하는건지
안쓰는 메모리영역을 확보한건지 확인을 할수가 없는데요
할당된 메모리가 램디스크 설정전에는 481MB/3165MB였는데
설정후 1249MB/3165MB로 사용 공간이 768정도 늘어났거든요..
제가 보기에는 3.25기가 공간에 램디스크가 설정된것같은데.. ㅡ,.ㅡ;;
님 글대로 레지스트리파일 실행해서 레지스트리 값 설정된거 확인하고
램디스크 설정하고 재부팅까지 했는데 이렇게 나오네요;;
뭘 잘못 설정한건지 아직도 애매한데
님 스샷을 보면 제가 보기엔 3.25기가 공간에 램디스크가 할당된것같거든요..
레지스트리 설정후 램디스크 설정시
"Media Type"설정부분에서
"RAM Drive"가 아니고
"Fixed Media"를 체크해야하는건가요?
램디스크가 확보되는 공간이 OS가 인식하는 3.25GB의 공간인지
인식못하는 나머지 약 700메가 정도의 공간인지 .. 이부분에대해 더 설명을 좀 듣고싶습니다
그리고 3GB 이상 영역을 사용할려면 PAE 설정과 레지스터 설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Fixed Media"만이 PAE 영역에 RAMDISK가 설정됩니다. "RAM Drive"는 윈도우가 사용하는 메모리에 RAMDISK가 할당됩니다.
마지막으로 3.25GB 공간을 사용하면 RAMDISK는 1GB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간단하게 4GB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실제 용량은 2^32 = 4,294,967,296 Byte이며, RAMDISK가 1GB로 설정하면 2^30 = 1,073,741,824 Byte만 사용합니다. 그러먄 약 1.2GB 정도를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비디오 내장형 보드나 노트북을 사용하면 실제 메모리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설치시에 램디스크로 쓸 용량을 1기가로 잡으시면 메모리에서 사용중인 메모리에서 끌어다씁니다.
용량은 젤 처음 설치시에 있던 그대로 건들지말고 하셔야되며. 확장명은 자기가 원하는데로 쓰셔도
되구요! 처음 그대로 전 16m로 되있던데로 해야만 4기가중에 사용중이지 않는 1기가를 쓸수있었습니다. 그리고 메인보드 시모스 설정에서 램관련 막혀있는분은 먼저 시모스 설정부터 고쳐준담에 따라하셔야 된답니다. 제가 이것 때문에 고생했었죠.. 하여간 용량은 설치할때 기본으로 적혀있는데로 해야댄다는것만 명심하세요^^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xp home editon 에선 이게 안먹히나요?
다 했는데 Z드러아버가 안생긴다는데요...ㅠ
boot.ini에 fastdetect 다음에 execute가 하나 더 있던데 그거만 없애면되는건가요?
한가지 제시하고 싶은 의견은 위의 어느 분 말씀처럼 temp, tmp 보다는 윈도우의 가상메모리, 즉 페이지 파일을 설정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이유는 윈도우가 가상메모리를 *항상* 쓰기 때문입니다. 윈도우는 램(3gb)이 남아돌아도 가상메모리를 항상 사용합니다. 메모리를 다 쓰고 필요한 경우에만 하드디스크를 가상메모리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거지요. 확인해보세요...또한 temp, tmp 폴더에는 프로그램들을 설치한 후 파일들을 남겨두고 나중에도 쓰이는 경우도 있고, 임시인터넷폴더도 역시 히스토리 또는 저장된 페이지 새버전 확인등에서 사용하기 때문에...물론 요즘에는 광랜이라 모뎀시절보다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지만...여하튼 저는 윈도우 페이지파일을 옮기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하하,,
전 팬티엄 4 1.60 GHz 쓰고 있답니다... 3.00GHz 도 있는데....
뭐 어짜피 저거 낀다해도 램하고 그래픽이 딸려서 겜 안돌아가니 걍 보관중....
감사합니다.
16m로 잡을경우 인터넷 동영상 1개조차 다운로드 16m 이상 넘어가는것 전부 사용불가능합니다
윈도우가 인식하고 남는용량... 4기가 사용중이면 실제주소확장후 레지스트리 등록하면 사용안하는
750M만 쓰면 됩니다 그러면 하드디스크 표기로 용량은 767M 로 인식됩니다
4기가거든요 인식은 3.25구요
램디스크를 깔았는데 사용중인 3.25에서 램디스크를 사용하는지
사용하지 않는 1기가가 램디스크로 활용돼는지 확인할수잇나요?
그리고 램디스크를 지울때는 어떻게 하죠?
작업관리자 실제메모리 + 램디스크 용량 = 컴퓨터의 물리적인 실제 메모리
삭제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최근 64bit O/S를 사용하면서지금은 ramdisk를 사용하지 않거든요. 정확하지는 않지만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램디스크 500M로 설치후 인터넷 등 빨라 진것도 느꼈고 노는 1G가 사용해서 기분이 좋았는데 포토샾 대용량 작업(CS4)하니 메모리 부족 뜨더군요...그리고 큰 용량 저장도 안되더라고요 ㅠ 다시 삭제후 1G로 재설정 했지만 여전히 포토샾 작업 버벅거리더라고요...
그래서 시험삼아 가상메모리 설정 글을 보고 가상메모리를 2046(기본), 4092(최대)에서 3300(기본), 9000(최대)으로 올렸습니다. 그랬더니 포토샾에서 대용량 저장등 빠른 속도로 돌아가더라고요...하지만 여전히 메모리 부족이라고 뜹니다.ㅠㅠ 사용하는데는 불편함이 없어 쓰고있는데 ---------
가상메모리 늘려도 되는건가요? 일반적으로 윈도우가 저절로 가상메모리 잡도록 되어있는데 램디스크를 깔아서 그런지 설정 탭(체크하는 부분)이 없더라고요~-----------
기존에 램디스크 설치 않했을때는 메모리 부족이 안 떴는데... 사용한는데 불편함은 아직 없는 것 같지만 참 거슬리네요...
참고로 포토샾에는 우선순위 C:,D:로 잡고 Z:는 잡지 않는았는데도 말이죠^^;
윈도우 32비트 사용하고 있고요 램은 4기가 인데 램디스크 1G가 할당했고 기본 TEMP와 인터넷 임시파일만 설정해 놓았습니다.
많이 쓰는 윈도우 3개 버젼 통합이군요!!!
아주 유용한 거 같아용 헤헤
잘 쓸게용..
참 근데 윈도우 깔고 업데이트 하는 중간에 램 작업했는데요.. Fixed Disk 말고 Ram Disk 를 세팅 하는 바람에 엄청 고생했습니다..유유
잘 퍼갈 게용 ^^
2008년도에 작성하신 글인데, 제가 읽어 보니까 말씀하신 사항이 기술적으로 정확하지 않습니다. 간혹 메모리 관련 글에 코멘트를 달면 화를 내시는 분이 계시던데, 오해는 하시지 말고 기술적으로 검토해 보셨으면 합니다.
1.
먼저 novrain님이 보여주시는 첫번째이미지의 시스템 등록 정보 상에서 보고하는 메모리 3.25GB라는 것은 4GB의 램을 장착했을 때, 하드웨어 예약에 해당하는 용량을 제외하고 보고가 되기 때문에 극히 정상적인 보고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하드웨어 예약은 BOIS할당에서 장치 맵핑을 위해서 사용되기 때문이지요. 4GB램을 장착하면, 어떤 PC에서든 4GB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장치 맵핑은 MMIO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맵핑이 일어나는 것은 그래픽 카드와 겹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128MB, 256MB, 512MB 각각 3종류의 그래픽 카드라면, 512MB의 그래픽 전용 메모리를 가진 PC가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해서 실제로 보고하는 메모리 용량이 다릅니다.
Vista 서비스팩 1부터 시스템 등록 정보상에서 보고하는 메모리를 변경했습니다. 설치된 메모리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로 보고합니다. 예를 들어 4GB램을 장착했으면, 설치된 메모리 4GB(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3.25GB)라고 보고합니다. 이는 4 - 3.25 = 0.75GB가 바로 장치 맵핑이 되는 하드웨어 예약에 해당합니다. 이 하드웨어 예약 공간을 0.75GB를 착각하게 되면 WIndows가 인식을 못한다고 하면서 램디스크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요. 0.75GB의 장치 맵핑을 된 것을 모조리 날려 버리고 램디스크가 사용한다면 Windows가 동작하겠습니까? 기술적인 문제랄 것도 없이 아주 간단히 생각해봐도, 램을 4GB 장착하고, 어플리케이션이 4GB를 모두 사용한다면, 운영체제는 어디서 어떤 메모리를 사용해서 동작을 할까요?
2. PAE라는 실제 주소 확장은 4GB 이상의 실제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술이 맞습니다만, 32비트 Windows 클라이언트에 PAE 커널이 제공되는 것은 Windows XP 서비스팩 2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DEP라는 데이터 실행 방지 때문입니다. DEP가 작동되기 위해서 PAE가 커널이 로드되어져야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Windows 클라이언트 모든 버전에서는 PAE와 관계없이 4GB가 사용됩니다. 다만 위에서처럼 장치 예약에 해당하는 BIOS 할당, 장치 드라이버 할당이 제외가 되고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보고가 되는 것이지요. 이것을 가지고 사용자들이 오해를 하는 것입니다. 물론 램디스크 같은 유틸리티들이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느끼게 하는 것도 사실입니다만, 확대 해석되고 있는 것입니다.
3. 앞에서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Windows는 하드웨어 예약을 제외하고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를 보고하는 것인데요. 하드웨어 예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래픽 전용 메모리 + Aperture sizw + 리맵핑(GART) + 기타 장치(3~5MB 정도) = 하드웨어 예약
그래픽 전용 메모리가 256MB일 경우 256 + 256 + 256 + 5 = 773MB, 773 / 1024 = 0. 75GB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4 - 0.75 = 3.25GB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극히 정상적입니다.
위에 GART와 리매핑은 사용자가 BIOS에서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만, Windows XP에서는 최대 24bit 컬러만을 지원했지만, Widnwos Vista부터는 24bit + 8bit = 32비트 색상을 지원하는 것이 기본 에어로 테마입니다. 여기서 8bit는 직접 색상을 구현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아닌 alpha 값이 데이터로 사용되어서 바로 투명 효과를 만들어 냅니다. Windows XP는 투명 테마를 지원하지 않기 떄문에 바로 Aperture + GART가 Vista 보다는 적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에 XP에서 비대하게 크게 잡힌 경우라면, 낭비하는 공간이 됩니다. 이러한 공간을 램디스크와 같은 유틸리티를 사용해서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Windows Vista는 사정이 다릅니다. 바로 WDDM 1.0 이라는 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했고, 32비트 색상을 기본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Windows Vista의 최소 사양은 128MB 그래픽 전용 메모리를 요한다고 할 때, 128 + 128 + 128 + 5 = 389, 389 / 1024 = 0.38, 4 - 0.38 = 3.62의 메모리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Vista를 128MB의 전용 메모리를 가지는 그래픽 카드로 돌리기에는 역부족이지요.
Windows Vista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 문서는 보편적인 사용자 환경의 그래픽 카드를 256MB정도로 설명을 합니다. 그래서 4GB 메모리 내에 그래픽 카드와 겹치는 부분의 발생으로 3.2GB 정도를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저도 뒤늦게 WIndows의 메커니즘이나 메모리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정확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되시면, novrain님도 스터디를 해보시면 알게 되실 것입니다. 스터티를 하셔서 블로그 방문자님들에게 올바르고 좋은 정보를 제공하실 수 있으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 시간이 되시면, novrain님도 스터디를 해보시면 알게 되실 것입니다. 스터티를 하셔서 블로그 방문자님들에게 올바르고 좋은 정보를 제공하실 수 있으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잡담2) 그럼 0.75GB를 사용하는 램디스크는 사기인가요?
>> 0.75GB의 장치 맵핑을 된 것을 모조리 날려 버리고 램디스크가 사용한다면 Windows가 동작하겠습니까?
RAM을 총 8GB를 사용하고 있는데, 32비트에서는 사용 안하는 영역을 램디스크로 설정해서 잘 쓰고 있지만,
64비트에서는 계속 'Failed' 오류가 발생합니다.
장치관리자에서 레거시 장치 추가를 했는데, 갑자기 블루스크린이 뜨고, 재부팅해도 곧바로 블루스크린이 떠서 결국 64비트용 VHD를 버리고 새로 설치했습니다;;
64bit 운영체제에서는 어떻게 해야 램디스크를 잡을 수 있을까요?
SuperSpeed는 유료라서 쓰기 싫고, Qsoft는 32비트에서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영역 지정이 안되고, Dataram은 미사용 메모리영역 잡으면 오작동하고;;;